반려견, 특히 소형견을 키우는 보호자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슬개골 탈구(Patellar Luxation).
이 질환은 무릎관절 안쪽에 위치한 슬개골(무릎뼈)이 제자리에서 벗어나 옆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슬개골이 탈구되면 보행에 불편을 느끼고 통증을 동반할 수 있으며,
방치 시 관절염이나 만성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슬개골 탈구는 왜 생길까?
슬개골 탈구의 발생 원인은 크게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선천적 요인
슬개골 탈구는 소형견에서 유전적 요인에 의해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말티즈, 포메라니안, 요크셔테리어, 치와와 등에서 높은 발병률을 보이며, 무릎 관절 구조의 이상이나 대퇴골(허벅지뼈)의 왜곡, 슬개골 홈의 얕음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2. 후천적 요인
후천적인 요인에는 사고나 외부 충격 외에도 일상생활 속 환경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 미끄러운 바닥에서의 생활
- 소파나 침대에서의 점프 습관
- 급격한 체중 증가로 인한 관절 부담
- 이러한 요소들은 무릎 관절에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주어 슬개골을 제자리에서 이탈하게 만듭니다.
🚫 슬개골 탈구, 이런 증상이 있다면 주의하세요
슬개골 탈구는 등급(Grade) 1~4로 나뉘며 증상도 다양합니다.
- 갑자기 뒷다리를 들고 걷는다
- 산책 중 멈춰 서거나 절뚝거린다
- 무릎 부위를 만지면 통증 반응을 보인다
- 뒷다리 모양이 안으로 휘어 보인다
이러한 증상이 반복된다면 정형외과 진료 및 슬개골 상태 확인이 필요합니다.
🦴 슬개골 탈구 등급별 정리 (1기 ~ 3기)
증상 및 특징
|
슬개골 상태
|
보호자 관찰 가능 증상
|
관리 및 치료
|
|
1기 (Grade 1)
|
경미한 탈구
|
슬개골이 손으로 눌렀을 때만 탈구되고, 놓으면 즉시 제자리로 돌아감
|
대부분 무증상 / 간혹 절뚝거림
|
체중 관리, 환경 개선, 관절 영양제, 주기적 관찰
|
2기 (Grade 2)
|
중등도 탈구
|
슬개골이 자주 탈구되며 손으로 넣으면 제자리로 돌아감
|
간헐적 절뚝거림, 무릎을 들어 걷거나 짧은 시간 들고 걷기
|
물리치료, 운동 조절, 비수술적 치료 고려
|
3기 (Grade 3)
|
고도 탈구
|
슬개골이 항상 탈구되어 있으며 손으로 넣을 수는 있으나 쉽게 다시 빠짐
|
보행 시 비정상 자세, 지속적인 절뚝거림, 통증
|
수술적 치료 고려 대상, 보존적 관리 병행 가능
|
📝 간단 정리
- 1기: 거의 증상 없음. 예방 중심 관리 (체중·바닥 환경).
- 2기: 증상 가끔 있음. 비수술적 관리 중요.
- 3기: 눈에 띄는 절뚝거림. 수술 필요 여부를 수의사와 논의해야 함.
✅ 슬개골 탈구 예방하는 5가지 습관
슬개골 탈구는 완전한 예방이 어렵더라도 일상 속 관리로 발병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1. 미끄럼 방지 바닥재 깔기
강아지가 실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매트나 러그를 활용해 관절 충격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2. 높은 곳에서 점프 금지
소파, 침대 등에서의 점프는 무릎 관절에 직접적인 압력을 주어 탈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이나 발판을 마련해 주세요.
3. 체중 관리 철저히 하기
과체중은 무릎 관절에 과도한 부하를 줍니다. 적절한 사료 급여와 간식 조절, 규칙적인 산책을 통해 적정 체중 유지가 중요합니다.
4. 가슴줄 사용하기
산책 시 목줄보다 가슴줄을 사용하는 것이 목과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5. 관절 영양제 및 정기 검진
슬개골 탈구가 의심되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등 관절 영양제를 꾸준히 급여하고 정기적으로 수의사의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마무리하며
슬개골 탈구는 단순히 ‘다리 좀 절룩이는 병’이 아닙니다.
방치할 경우 만성 관절염, 보행 장애, 수술까지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정형외과 질환입니다.
특히 소형견 보호자라면 일상 속 관리만으로도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으니, 오늘부터라도 예방 습관을 꼭 실천해 보세요.
우리 아이의 건강한 두 다리, 보호자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